1. Linux CLI (Command Line Interface)
Graphic User Interface (GUI) 와는 다르게, CLI는 마우스와 각종 UI 컴포넌트 대신에 표준 입출력 시스템 (Standard I/O) 을 통한 입력과 그에 따른 결과를 출력하는 형태로 나타난다. 컴퓨터의 시작은 GUI가 아닌 CLI 였다고 한다.
맥북을 사용하는 개발자라면 Terminal 이라는 툴이 익숙할텐데, 이 Terminal에서 우리는 CLI를 사용한다.
- ls : 'list' 의 약자로,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 (폴더) 안에 있는 파일들을 나열해준다.
- cd : 'change directory' 의 약자로,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. Ex., cd ~ => cd Desktop
- mkdir : 'make directory' 의 약자로,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시킨다. Finder (GUI) 에서 새로운 폴더를 만드는 것과 동일.
- rm : 'remove' 의 약자로, 폴더/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다.
- pwd : 'print working directory' 는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절대경로를 화면에 보여준다.
- touch : 위치한 디렉토리 안에 새로운 폴더를 만들어 준다.
- cat : 'concatenate' 의 약자로, 파일 컨텐츠를 합칠 때 사용한다.
- mv : 'move' 의 약자로,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 안의 파일을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시켜준다.
- cp : 'copy' 의 약자로, 파일 혹은 폴더를 복사한다.
이처럼 명령어를 통해 현재 나의 디렉토리 위치를 찾을 수가 있고, 디렉토리 간의 이동도 가능하다.
* 주로 사용하는 디렉토리 (directory) 두가지 : 홈 디렉토리 (~), 루트 디렉토리 (/)
[심화 내용 ... ]
권한과 관련된 UNIX/LINUX 명령어
- sudo
- chown
- And... unix/linux의 파일/디렉토리 소유권은 누구에게 있는가
'Programming > 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ML 구성 전 와이어프레임 설계 및 Mock-up 구현 (0) | 2020.11.06 |
---|---|
Git (0) | 2020.11.05 |
Primitive & Reference, Scope & Closure (0) | 2020.11.03 |
Array_Methods & Object (0) | 2020.11.02 |
querySelector & textContent (0) | 2020.10.30 |